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14

경제상식 : ELS, ELS, ETF, 인덱스 펀드 정리 ELS란? (Eqilty-Linked Securities) 개별 주식에 직접 투자하기에는 부담스럽고 은행 예적금으로 만족스럽지 못할 때 펀드나 ELS상품을 찾게 됩니다. 재테크에 조금만 관심이 있어도 ELS상품은 흔히 접할 수 있었을겁니다. 손실을 감수하며 직접 주식에 투자하기 어렵고, 은행이자보다 높은 수익을 원하는 중간 정도의 리스크를 생각하시는 분들에게 많이 추천되기도 합니다. ELS는 개별 주식 가격이나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손익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입니다. 주가 또는 지수가 떨어지거나 올라도 미리 정해진 구간 안에서만 움직이면 약정한 수익률을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만약 조건에 충족하지 못하면 투자 원금의 손실이 100%까지 발생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수익에 대한 조건이 걸려있기 때문에 중위험.. 2024. 2. 6.
경제이슈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금융위원회 주가 부양책)살펴보기 지난 1월 24일,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증권업계 및 유관기간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국민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증권업계의 신뢰제고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 내용을 정리 요약한 것입니다.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3가지 방향의 제도개선 1) 일반주주 이익보호 이를 위해 정보는 관계부처 간 긴밀한 현의 하에 "증시 수요기반 유지, 확충을 위한 세제개편과 함께, 소액주주 권익 개선을 위한 상법 개정, 지배주주의 편법적인 지배력 확대 방지를 위한 자사주 제도개선 등을 추진나가겠다고 하였습니다. 세제개편으로는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ISA 세제지원 강화가 있습니다. 자사주 제도개선은 지난 번에.. 2024. 2. 5.
경제상식 : 채권 회사채 톺아보기 채권이란 채권 채권은 정부, 공공기관, 특수법인 등과 같은 주식회사의 형태를 갖춘 기업이 비교적 거액의 장기자금을 일시에 대량으로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입니다. 채권은 발행 시에 지급해야 하는 이자나 혹은 그 기준이 확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액면가라고 합니다. 액면가에 따른 이자와 상환금액은 만기 시점에 채구너 보유자에게 상환해야 합니다. 주식과 달리 수익의 발생여부와 상관없이 이자를 지급해야 합니다. 또한 그 기간도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기한부 증권이라고 부릅니다.) 채권투자의 특징 수익성 : 투자자가 채권을 보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수익. 이자소득과 자본소득이 있습니다. 이자소득은 발행시 정해진 이율에 따라 지급받습니다. 자본소득은 채권 만기 시 채권의 유통가격이 .. 2024. 2. 3.
경제상식 톺아보기 : 자사주 제도개선방안 (자사주 소각 의무화) 자사주 소각? 자사주 소각은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취득하여 이것을 소각하는 것입니다.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는 경우 본질적으로 기업의 가치는 변하지 않지만 절대적인 주식수가 줄어서 1주당 가치는 높아지게 됩니다. 자사주 소각을 하면 유통주식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주당순이익(EPS)이 증가합니다. 즉,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에게 이익이 되는 셈입니다. 예를 들어 총 100개의 주식이 있는데, 회사가 50개를 매입해서 50개를 소각하게 되면 100개였던 주식수가 50개로 줄어들게 됩니다. 1개의 주식이 100원으로 총 1만 원의 가치의 회사가 주식의 개수만 50개로 줄었기 때문에 1개의 주식이 200원이 되는 효과를 내게 됩니다. 회사는 자사주 매입, 소각의 과정으로 주주에게 이익을 환원하기도 합니다. 실.. 2024. 2.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