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4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뜻 정리 (차이) 금융공부경제 기본 용어 정리하기1. 사이드카2.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에 비하여 일정 수준을 넘어서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때 5분 동안 프로그램 매매를 정지하는 제도입니다. 선물시장이 급변할 경우 이 영향이 현물시장에도 미치는데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즉 현물시장 안정화를 위한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이드카 발동조건(가장 많이 거래되는) 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위/아래로 5%이상인 상황이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발동합니다. 사이드카는 발동 후 5분동안 지속되며 하루에 1회 한해서만 발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주식시장 매매 종료 40분 전에는 발동할 수 없습니다.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s 주식시.. 2024. 9. 6. 소비재 중간재 차이점, 우리나라의 중간재 수출 비중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입니다. 내수 경제에 대한 아쉬움도 있지만, 수출 강국으로 떠오른 데에 있어 자부심을 느끼곤 합니다. 수출 강국이라고 해서 우리나라는 수출을 잘하는구나 생각했는데, 우리나라의 수출 품목들에 대한 기사를 접하면서 중간재, 소비재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중간재 가공생산품 가운데 최종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가 생산과정에서 투입물로 사용하는 재화입니다.일반적으로 원료라고 하면 가공이 되지 않는 투입물인데 중간재는 통상적으로 가공을 거친 제품을 지칭합니다. 우리나라의 중간재 수출 비중은 높은 편인데, 아세안 국가들을 대상으로는 60% 정도 차지한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한국의 중간재를 사서 조립하는 중국의 구조도 볼 수 있었지만 중국의 내수 경제를 위해 중간재를 자국.. 2024. 9. 4. 패시브펀드 vs 액티브펀드 (액티브 ETF) 뜻, 비교 지난번에 패시브 자금과 액티브 자금을 정리한 적이 있었습니다.비슷한 내용이지만 복습 겸 다시 다루어 봅니다. 패시브 자금, 액티브 지금 알아보기 7월 19일에 패시브 자금과 액티브 자금을 정리할 때 내용은 패시브 자금이 많다는 이야기였는데요.이번에 나온 기사는 패시브 펀드의 수익률에 비해 액티브 ETF가 더 좋다는 내용입니다. 두 달이 채 되지 않았는데 상반된 내용의 기사인지 살펴보겠습니다. 패시브 펀드 Passive Fund 패시브 펀드란 특정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종목들을 펀드에 담아 그 지수 상승률만큼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소극적인 운용 방식으로 "패시브"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패시브 투자는 장기적인 꾸준한 성장을 목표로 합니다. 대표적인 지수를 복제하거나, 우량주,.. 2024. 9. 3. 환헤지 환헤지 뜻, 환헤지ETF 최근 환헤지 ETF의 수익률이 탑 10에서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환헤지는 말 그대로 환율 울타리입니다. 글로벌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가 바로 환율입니다. 각국 기준통화가 다르기 때문에 기축통화로 사용하는 달러대비 자국 통화의 비율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습니다. 특히 무역이 활발한 우리나라에서는 환율에 따라서 기업의 실적이 달라지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환율이란 우리 돈과 외국 돈의 교환비율을 말하는데, 교환 비율이 시장의 흐름에 따라 변동되어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환변동 리스크를 안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환헤지?환율 변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취하는 금융전략 선물환환헤지의 예시 중에 하나는 선물.. 2024. 9. 2. 이전 1 ··· 3 4 5 6 7 8 9 ··· 29 다음 728x90 반응형